본문 바로가기
취급제품

MDF합판, 석고보드 가격과 특징

by 디와이합판 2025. 3. 10.

 

*모든 제품은 부가세 별도가격입니다

상차지

인천 서구 북항 목재단지 인근

상차 시간

주중 : AM08:00 ~ PM17:00

토요일 : AM08:00 ~ AM11:00

합판재단

합판재단은 제품마다 규격마다 가격이 다르며

통상적으로 넉넉하게 이틀정도 보셔야합니다

제품 문의

010 8484 9108

 

문의는 언제든지 늦은시간에도 상담은 가능하시니 언제든지

편하게 문의주시면 됩니다!

 

 

DY합판 홈페이지

https://woodmaker2.modoo.at/

DY합판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dy_plywood/

DY합판 블로그

https://blog.naver.com/lsj199108

DY합판 티스토리

디와이합판목재 (tistory.com)

MDF합판 가격
2.7T 1220*2440 - 4,300원
3T   1200*2440 - 4,500원
4.5T 1200*2440 - 6,600원
5T   1200*2440 - 6,700원
6T   1220*2440 - 8,500원
9T   1220*2440 - 11,300원
12T 1220*2440 - 14,500원
15T 1220*2440 - 18,500원
18T 1220*2440 - 21,500원
20T 1220*2440 - 29,000원
30T 1220*2440 - 47,000원


컬러 MDF합판 가격
5T   1220*2440 - 28,000원
18T 1220*2440 - 85,000원


MDF합판 가격(고밀도)
9T   1220*2440 - 13,000원
12T 1220*2440 - 16,000원
18T 1220*2440 - 22,500원



석고보드 가격
9.5T 900*1800 - 3,600원


석고보드 가격(중국산)
9.5T 900*1800 - 1,800원


방수석고보드 가격
9.5T 900*1800 - 6,000원


방화석고보드 가격
9.5T 910*1820 - 6,500원


차음석고보드 가격
12.5T 900*1800 - 5,800원

최근 집 안이나 업무 공간을 새롭게 단장하면서 중밀도섬유판(MDF)과

건식 내장재(석고보드)를 접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판재를 붙이면 되겠지”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시공 과정에 참여해 보니

이 두 소재의 중요성을 체감하게 되었습니다. 각 재료는 서로 다른 장점과

특성을 지니고 있어 용도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더군요. 오늘은 이러한

두 가지 마감 자재의 종류와 특징, 실제 사례, 그리고 시공 후 느낀 시사점 등을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중밀도섬유판은 톱밥을 섬세하게 가공해 접착제로 압축·성형한 제품입니다.

흔히 가구나 실내 인테리어에 널리 활용되는데, 표면이 매끈하고 가공성이 뛰어나

복잡한 디자인 구현에도 유리합니다. 실제로 제가 방 안의 붙박이장을 교체할 때,

이 재질을 사용해 제작한 문짝을 설치했는데, 원하는 색상으로 코팅하기도 쉽고

모서리 부분도 깔끔하게 마감되어 인상이 좋았습니다. 한편, 습기가 많은 곳에

그대로 노출되면 쉽게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니, 욕실이나 주방에서 사용할 때는

방수 처리를 필수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두께에 따른 규격이 다양하기 때문에,

내구성을 강화하거나 무게를 줄이는 등 목적에 따라 적절한 규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건식 내장재로 알려진 석고 기반 보드는 주택이나 사무실 벽체,

천장 마감 등에 폭넓게 쓰입니다. 화재 발생 시 어느 정도 내화 성능을

기대할 수 있고, 시공 속도가 빠르며, 비교적 가벼워 이동이 간편하다는

점이 돋보입니다. 게다가 면이 고르고 페인트나 벽지, 타일 등을

부착하기에 수월해 후처리도 쉽습니다. 다만 충격에 약한 편이어서 강도가

필요한 공간에는 보강대책이 필요합니다. 한 지인은 작업실 구역과 거실을

분리하기 위해 건식 벽체를 설치했는데, 소음 차단 면에서 기대만큼 완벽하지

않아 추가적으로 방음재를 보강했던 경험을 이야기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두 소재 모두 ‘어떤 목적에 사용하느냐’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가구를 만들거나 인테리어 소품을 제작할 때는 비교적

미세한 디테일이 요구되므로, 가공성이 우수한 중밀도섬유판이 제격이죠.

반면 대형 벽체 공사에는 무게 부담이 덜하고 단열, 차음 성능이 기대되는

석고 판재가 효과적입니다. 시공 전, 원하는 공간의 용도와 예산, 내구성 요구 사항

등을 면밀히 따져본 뒤 선택해야 비용 낭비를 줄이고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장단점도 분명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압축된 목재 재질은 마감이 깔끔하고

제작의 자유도가 높지만 습기에 약합니다. 반대로 건식 내장재는 내화 성능 및

시공 편의성이 뛰어난 반면, 물리적 충격에 쉽게 손상이 갈 수 있죠.

따라서 설치 후에는 물이나 습기가 많이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환기를 잘 시켜주고,

보드에 무거운 물건을 부착할 때는 별도의 지지대를 마련하는 등 관리 요령이 필요합니다.

규격 면에서는 밀도가공판의 경우 3mm부터 25mm 이상의 두꺼운 제품까지 시판되고,

건식 벽체용 자재는 일반용, 방수용, 내화용 등으로 구분되어 다양한 상황에

맞출 수 있습니다. 시공 현장에서 직접 확인한 결과, 벽면 전체를 재단하기

전 반드시 설계 도면을 면밀히 검토하고, 조금이라도 오차를 줄이기 위해

전문가와 긴밀히 협의하는 것이 오류를 방지하는 핵심이라 느꼈습니다.

결론적으로, 실내 건축자재를 선택할 때는 재질 특성부터 예산, 시공 목적

등을 꼼꼼히 따져야 하며, 현장에서 발생하는 변수를 대비해 준비하는

자세도 필수입니다. 두 소재 모두 적재적소에 배치한다면, 예쁜 인테리어는

물론이고 안전까지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셈이 되니까요. 이번 경험을 통해,

평소에는 그저 ‘평평한 판’ 정도로만 여겼던 자재들이 사실 얼마나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하는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인테리어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오늘 이야기한 팁과 함께 서로 다른 판재를 잘 비교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이를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만족도 높은 공간을 완성하실 수 있을 거예요.

 

취급 제품 목록

자작합판, 일반합판(베트남산, 인도네시아산, 말레이시아산),

라왕합판, 태고합판, OSB합판, 낙엽송합판, 방수합판(내수합판),

코어합판, 석고보드, 계단재, 합성데크, 소송각재(한치각, 투바이),

뉴송각재(다루끼, 투바이, 산승각, 오비끼) 구조재, 방부목

집성목(라디에타파인, 스프러스, 삼나무, 레드파인, 히노끼, 오크,

에쉬, 아카시아, 고무나무, 멀바우, 참죽, 엘더, 비치, 디베토, 웬지)

집성각재, 알비자합판, 콤비합판, 편백루바, 삼목루바, 라민보드,

골만마감재, 캐슬사이딩, 미송합판, 방부데크, 방킬라이데크,

멀바우후로링, 오크후로링, 메이플후로링, 자작후로링,

오쿠메합판, 큐링합판, 오동합판, 머루사와합판, 고무나무합판 등